주린이 주당 순이익 EPS 주가 수익률 PER 주가 순자산 비율 PBR 자기자본비율 ROE 총자산수익률 ROA 정의 성격 특징 차이점

EPS(Earn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 나타내는 지표
EPS 계산법
당기 순이익 / 발행주식 수(유통주식 수)
삼성전자 EPS 6,372원 (2022.03)
= 삼성전자 1주가 6,372 원을 벌어왔다는 의미이다.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률)
1주당 수익이 몇배가 되는지 나타내는 지표 (주식시장 평가지표)
낮을수록 '저평가' 이다.
PER 계산법
주가 / 주당 순이익(EPS)
PER 계산법 예시
A 기업의 주가 10,000 원 & 주당 순이익(EPS) 1,000원
= 10,000 / 10 = PER 10
PBR(Price Book-value Ratio, 주가 순자산 비율)
순자산(총자산 - 부채)에 비해 1주당 몇배로 거래하고 있는지 측정하는 지표
낮을수록 '저평가' 이다.
PBR 계산법
주가 / 주당 순자산(총자산-부채)
PBR 계산법 예시
A 기업의 주가 1,000 원 & 주당 순자산 1,000
= 1,000 / 1,000 = PBR 1
즉, 기업이 청산을 하게 되더라도
주식에 투자한 금액만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
따라서, 청산 가치보다 주가가 떨어져도
회사의 청산가치 보다도 가격이 더 떨어지면
비정상적인 가격이기 때문에
관심을 갖어볼만하다 !
< 삼성전자 PER, PBR, EFS >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
자기 자본을 투입해서 얼마큼 이익을 나타냈는지 확인하는 지표
즉, 돈을 투입해서 얼마 벌었느냐 ? 이다.
당연히 높을수록 좋다.
ROE 계산법
(당기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ROE 계산법 예시
A 기업 자기자본: 100억 & 당기 순이익: 20억
= (20/100) * 100 = 20%
당기 순이익은
총소득에서 지출비용, 이자, 감가상각 등을
제외한 것이다.
ROA(Return On Assets, 총 자산 순이익률)
기업 총 자산으로 당기 순이익이 올라왔는지 가늠하는 지표
즉, ROE 보다 좀 더 큰 개념으로
자기 자본뿐만 아니라 부채까지도 고려하여
기업이 어느정도 이익을 창출했는지 나타낸 지표
ROE 와 마찬가지로 높을수록 좋다.
ROA 계산법
(당기 순이익 / 총 자산) * 100
ROA 계산법 예시
A 기업의 총 자산 50억 & 당기 순이익 10억
= (10 / 50) * 100 = 20%
총 자산은
기업의 모든 자본과 모든 부채를 의미한다.
< 삼성전자 ROE, ROA >

삼성전자가 국내 대장 주식인 만큼
자기 자본대비 수익율(ROE)과
부채까지 고려한 총 자산 대비 수익율(ROA) 가
날로 갈수록 좋아지고 있는걸 볼 수 있답니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 퀀트킹 백테스트 수익률 - 마법공식(저 PER, 고 ROE) (1) | 2022.06.05 |
---|---|
[주린이] 딱 3분 - 재무제표 구조 이해하기, 보는법 (0) | 2022.06.03 |
[주린이] 퀀트킹 기능 및 가격, 백테스트 수익률 ? (1) | 2022.06.01 |
[주린이] 딱 3분 - 퀀트투자 장점, 단점 및 주의사항 (0) | 2022.05.31 |
[주린이] 딱 3분 - 개념 및 용어정의(1) (0) | 2022.05.26 |
댓글